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Docs(design-system): CSS 스타일 수정 및 스토리북 데이터 업데이트 #305

Open
wants to merge 6 commits into
base: develop
Choose a base branch
from

Conversation

gwagjiug
Copy link
Member

@gwagjiug gwagjiug commented Feb 10, 2025

📌 Summary

📚 Tasks

디자인 시스템 내에서 Card 의 mock 데이터를 실제 이미지 파일로 변경합니다

👀 To Reviewer

Card 컴포넌트의 샘플 데이터를 실제 이미지 url 로 변경해두었습니다. UI를 스토리북 내에서 판단하기에 해당 방법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어요.

일단 이러한 방법이 옳은지에 대해서도 잘 모르겠어요.. 레퍼런스가 많이 없어서 추가적으로 고민되는 부분은
image

위 사진과 같이 현재 Festival Card 도 마찬가지로 dummy data 로 설정되어있어요. 스토리북에서 mock 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유는 서버와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함인데 Card 컴포넌트의 경우 현재 사용하는 Spotify API 에서 가져오는 url 이라 무관할 것 같지만,

Festival Card에 사용되는 이미지 url 의 경우 서버 자체 S3 버킷에서 제공하는 파일 url 이라 dummy data를 수정해야 할지 고민이에요...

제가 생각해본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1. mock data 자체를 정적 파일로 저장해둔다. ex ) public/assets 등등..
  2. 현상 유지한다.

2번의 경우

Card 컴포넌트의 샘플 데이터를 실제 이미지 url 로 변경해두었습니다. UI를 스토리북 내에서 판단하기에 해당 방법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어요.

이 의견에도 동의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반대가 많을 시 브랜치 삭제하고 튑니다. 브삭튀 🛵💦💦💦💦

📸 Screenshot

Before

image

After

image


before

image

after

image

before

image

After

image

before

image

after

image

  • 좋아요 버튼 스토리북내에서 사이즈가 너무 작은 것 같아 실제 confeti.co.kr 에 사용되는 사이즈와 거의 유사하게 조정하였습니다

@gwagjiug gwagjiug self-assigned this Feb 10, 2025
@gwagjiug gwagjiug requested a review from a team as a code owner February 10, 2025 15:53
@gwagjiug gwagjiug requested review from seueooo, m2na7, daahyunk and bongtta and removed request for a team February 10, 2025 15:53
@gwagjiug gwagjiug linked an issue Feb 10, 2025 that may be closed by this pull request
Copy link

github-actions bot commented Feb 10, 2025

🏴‍☠️ Storybook 확인: 🔗 https://677bd6bc4909f2f48f4e0f42-tbxjtwopdu.chromatic.com/

@gwagjiug gwagjiug added 📑 Docs 문서 작성 및 수정 지욱 🥁 지욱 labels Feb 10, 2025
@m2na7
Copy link
Member

m2na7 commented Feb 10, 2025

실제 이미지로 변경한다는 것은 긍정적이네요~
FestivalCard 같은 경우는 이미지 호스팅을 통해서 필요한 이미지 주소를 가져와 사용하면 될 것 같아요 ~!

Copy link
Contributor

@seueooo seueooo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음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UI 테스트의 본질적인 목적(레이아웃, 반응형, 인터랙션 확인 등)을 위해서라면 더미데이터만으로 충분히 해결된다고 생각해요!

S3 버킷 URL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어찌됐든 외부 의존성이 생기는데, 실제 서비스와 최대한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굳이 api 테스트를 스토리북에서 해야되나라는 생각이 들어요

어차피 데이터는 계속 바뀌는데 스토리북에서도 실제 데이터 url을 사용한다는 것이,, 불필요한 리소스를 들이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현재 더미데이터 사진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정적 파일로 저장된 목데이터를 사용하는게 어떤가요?

@gwagjiug gwagjiug closed this Feb 11, 2025
@gwagjiug gwagjiug reopened this Feb 11, 2025
@gwagjiug
Copy link
Member Author

음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UI 테스트의 본질적인 목적(레이아웃, 반응형, 인터랙션 확인 등)을 위해서라면 더미데이터만으로 충분히 해결된다고 생각해요!

  • 이 부분도 맞는 말씀 같습니다! 개발영역에서는 UI 테스트의 목적을 더미데이터 만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지만 실제 화면과 동일한 이미지를 삽입하려한 것은 개발자를 제외하고 기획, 디자인 파트원들에게 친화적인 storybook 구성에 대한 고민에 일환이였어요 ,

저도 자세한 레퍼런스나 방법론을 알고있는 건 아니지만 더미데이터보단 실제 이미지를 삽입하면 디자인레벨에서 storybook 으로 디테일한 부분에서 피드백이 오고가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었습니다

한서님 말씀도 일리가 있는 것 같으니 한번 디자인 파트원 분들에게도 여쭤보겠습니다!

S3 버킷 URL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어찌됐든 외부 의존성이 생기는데, 실제 서비스와 최대한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굳이 api 테스트를 스토리북에서 해야되나라는 생각이 들어요

  • S3 버킷 URL을 직접사용하여 외부의존성이 생기는 것은 저 역시 storybook 사용에 대한 기본적인 근거를 상실하는 행동이라고 생각해요. 그렇기에 API 의존성을 없애 storybook 에서 서버의 API가 준비되지 않았거나 다운되었을 때 UI 테스트를 위해 의존성이 완전히 독립된 테스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어쨋든 storybook의 장점은 백엔드와 독립된 API 모킹으로 UI를 테스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해요!

현재 더미데이터 사진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정적 파일로 저장된 목데이터를 사용하는게 어떤가요?

  • 이 부분은 이미지 호스팅을 통해서 서버와의 의존성을 분리해서 UI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지욱 🥁 지욱 📑 Docs 문서 작성 및 수정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Docs]: 디자인 시스템 mock 데이터 변경
3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