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들의 기본이 되는 코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서버로부터 예제 데이터를 가져와서 표시해주기까지만 적용된 상태입니다.
기본 코드의 실행결과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엑셀 내보내기는 GridView의 exportGrid() 메소드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데이터가 서버에서 모두 다운받아지면 바로 그리드의 내용을 엑셀 파일로 내려 받도록 하는 예제입니다.
예제 코드의 실행결과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4-28: 엑셀 내보내기를 지원하는 exportGrid() 함수의 구현부분입니다.
- 17: 저장할 때 사용할 파일명을 지정합니다.
- 18: 저장하는 동안 표시될 메시지입니다. 데이터가 많지 않을 때에는 거의 순간적으로 지나가게 됩니다.
- 20: 메시지를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 21: indicator는 아래 이미지의 1번에 해당하는 영역을 엑셀로 내보낼 지 결정합니다. visible과 hidden 중에 선택합니다.
- 22: header는 아래 이미지의 2번에 해당하는 영역을 엑셀로 내보낼 지 결정합니다. visible과 hidden 중에 선택합니다.
- 23: footer는 아래 이미지의 3번에 해당하는 영역을 엑셀로 내보낼 지 결정합니다. visible과 hidden 중에 선택합니다.
- 26: 엑셀 내보내기가 끝나면 실행할 코드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이번에는 내보낼 엑셀 파일에 제목 및 꼬릿말 등을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아래의 이미지를 보시면 예제가 실행되었을 때 어떻게 엑셀에 적용될 지를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제 코드의 실행결과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2-19: 엑셀 파일에 제목을 삽입하는 코드입니다.
- 21-25: 엑셀 파일에 부제을 삽입하는 코드입니다.
- 21-25: 엑셀 파일에 꼬릿말을 삽입하는 코드입니다.
이번 예제에서는 여러 개의 그리드를 하나의 엑셀 파일에 각각 다른 sheet로 저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예제 코드의 실행결과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1-15: 첫 번 째 그리드를 생성합니다.
- 17-21: 두 번 째 그리드를 생성합니다.
- 26-28: 첫 번 째 데이터를 내려 받아서 첫 번 째 그리드에 적용합니다.
- 29-31: 두 번 째 데이터를 내려 받아서 두 번 째 그리드에 적용합니다.
- 33-42: 버튼이 클릭됐을 때 엑셀로 저장하도록 구현된 코드 입니다.
- 39: 첫 번 째 sheet에 저장될 그리드 객체와 sheet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40: 두 번 째 sheet에 저장될 그리드 객체와 sheet의 이름을 지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