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마인즈랩 브레인 블로그 |
2 |
| -=== |
3 |
| -**Table of Contents** |
4 |
| -- [Local에서 사이트 렌더링하기](#local에서-사이트-렌더링하기) |
5 |
| -- [Branch 관리](#branch-관리) |
6 |
| -- [포스트 작성법](#포스트-작성법) |
7 |
| - 1. [포스트 생성](#1-포스트-생성) |
8 |
| - 2. [Front matter](#2-front-matter) |
9 |
| - 3. [본문 작성](#3-본문-작성) |
10 |
| - 4. [이미지 넣기](#4-이미지-넣기) |
11 |
| - 5. [References 작성](#5-references-작성) |
12 |
| - 6. [Badge 달기](#6-badge-달기) |
13 |
| ---- |
| 1 | +# Website |
14 | 2 |
|
15 |
| -## Local에서 사이트 렌더링하기 |
16 |
| -참고: [jekyll installation](https://jekyllrb.com/docs/installation/) |
| 3 | +This website is built using [Docusaurus 2](https://docusaurus.io/), a modern static website generator. |
17 | 4 |
|
18 |
| -### requirements |
19 |
| -- Ruby 2.4.0 + |
20 |
| -- RubyGems (package manager) |
21 |
| -- gcc, make |
| 5 | +### Installation |
22 | 6 |
|
23 |
| -### 1. Jekyll setup & run |
24 |
| -```bash |
25 |
| -$ gem install jekyll bundler |
26 |
| -$ git clone https://github.com/mindslab-ai/mindslab-ai.github.io.git |
27 |
| -$ cd mindslab-ai.github.io |
28 |
| -$ bundle install |
29 |
| -$ bundle exec jekyll serve |
30 | 7 | ```
|
31 |
| - - `gem install jekyll` 실행시 아래 메시지가 나오면 `ruby-dev`를 설치(ex. `apt install ruby-dev`)한 뒤 실행해보세요 |
32 |
| - ``` |
33 |
| - ... |
34 |
| - Building native extensions. This could take a while... |
35 |
| - ERROR: Error installing jekyll: |
36 |
| - ERROR: Failed to build gem native extension. |
37 |
| - ... |
38 |
| - ``` |
39 |
| - - `bundle install` 실행시 아래 메시지가 나오면 `Gemfile.lock`을 지운 다음 다시 실행해보세요 |
40 |
| - ``` |
41 |
| - Can't find gem bundler (>= 0.a) with executable bundle (Gem::GemNotFoundException) |
42 |
| - ``` |
43 |
| -
|
44 |
| -### 2. 접속하기 |
45 |
| -- 출력된 주소(ex. `127.0.0.1:4000`)에 웹브라우저를 사용해 접속합니다. |
46 |
| -
|
47 |
| -
|
48 |
| -## Branch 관리 |
49 |
| -### 주요 branch |
50 |
| -- `master`: public 공개되는 branch입니다. 업데이트 되면 사이트 컴파일에 필요한 시간이 지난 후 `mindslab-ai.github.io`에 반영됩니다. |
51 |
| -- `contents`: 내용(주로 post)과 관련된 branch |
52 |
| -- `designs`: 사이트 디자인 및 기능(plugin)과 관련된 branch |
53 |
| -### 업데이트 |
54 |
| -- 업데이트 하려는 내용에 따라, `contents`또는 `designs`에서 branch를 새로 생성하여 commit 후 다시 PR합니다 |
55 |
| -- PR 완료 후, release 결정에 따라 `contents`, `designs`을 master로 merge합니다. |
56 |
| -
|
57 |
| -## 포스트 작성법 |
58 |
| -참고: [jekyll post writing](https://jekyllrb.com/docs/posts/) |
59 |
| -
|
60 |
| -### 1. 포스트 생성 |
61 |
| -- `_posts/` 폴더 하위에 `YYYY-MM-DD-title.md` 파일명으로 포스트를 생성합니다. |
62 |
| -
|
63 |
| -### 2. Front matter |
64 |
| -- `.md` 최상단에 아래 예시를 따라 front matter를 기입합니다. |
65 |
| - ```yaml |
66 |
| - --- |
67 |
| - layout: post |
68 |
| - title: "__init__(brain, blog):" |
69 |
| - description: "Hello community! 마인즈랩 브레인이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
70 |
| - categories: news |
71 |
| - author: MINDs Lab |
72 |
| - github: mindslab-ai |
73 |
| - --- |
74 |
| - 본문... |
75 |
| - ``` |
76 |
| - - `layout`: `post`로 기재 |
77 |
| - - `title`: 포스트 제목 |
78 |
| - - `description`: 포스트에 대한 설명. 포스트 목록에서 제목 아래에 표시됩니다. |
79 |
| - - `categories`: 글의 카테고리를 입력합니다. 목록 정해지고 확장될 예정. |
80 |
| - - `publication` |
81 |
| - - `paper-review` |
82 |
| - - `news` |
83 |
| - - etc ... |
84 |
| - - `author`: 작성자 이름으로 표시되는 이름 |
85 |
| - - `github`: github 계정명. 입력하면 github 프로필 사진이 함께 표시됩니다 |
86 |
| - |
87 |
| -### 3. 본문 작성 |
88 |
| -- markdown 형식을 따라 작성합니다. |
89 |
| -- 제목은 front matter의 title이 자동으로 렌더링되고, 이후 부제목은 `##`로, 소제목은 `###`로 입력합니다. |
90 |
| -- 부제목`##`은 가능하면 제일 위에 **단 하나만** 쓰는것을 권장합니다. |
| 8 | +$ yarn |
| 9 | +``` |
91 | 10 |
|
92 |
| -### 4. 이미지 넣기 |
93 |
| -- `assets/{post_file_name}/{image.suffix}`로 파일을 위치시킵니다. |
94 |
| -- 아래 예시대로 경로를 작성하면 렌더링 후 표시됩니다. |
95 |
| - ```md |
96 |
| - 이미지 파일은 로 입력합니다. |
97 |
| - ``` |
98 |
| -- 이미지 속성은 `{: style="inline css syntax"}`를 통해 조정 가능합니다. |
99 |
| - ```md |
100 |
| - 크기 조정은 {: style="width: 200px; height: 150px"} 이렇게 합니다. |
101 |
| - ``` |
102 |
| -- predefined style |
103 |
| - ``` |
104 |
| - .center-image |
105 |
| - { |
106 |
| - margin: 0 auto; |
107 |
| - display: block; |
108 |
| - } |
109 |
| - .resize-image-large |
110 |
| - { |
111 |
| - width: 800px; |
112 |
| - } |
113 |
| - .resize-image-medium |
114 |
| - { |
115 |
| - width: 500px; |
116 |
| - } |
117 |
| - ``` |
118 |
| -- predefined style 사용법 |
119 |
| - ``` |
120 |
| - {: .center-image } |
121 |
| - {: .center-image .resize-image-large} |
122 |
| - {: .center-image .resize-image-medium} |
123 |
| - ``` |
| 11 | +### Local Development |
124 | 12 |
|
125 |
| -### 5. References 작성 |
126 |
| -- 참고: [준혁님 포스트(TBA)](/_posts/2021-07-14-publication-nuwave.md) |
127 |
| -- 아래와 같이 **링크 방식을 통일합니다.** |
128 |
| - ``` |
129 |
| - ... 본문 중, ASR Using Neural Net[<sup>[1]</sup>](#r1)에서는 ... |
| 13 | +``` |
| 14 | +$ yarn start |
| 15 | +``` |
130 | 16 |
|
131 |
| - ### References |
132 |
| - 1. <a name="r1"></a>V. Kuleshov, S. Z. Enam, and S. Ermon, “Audio super resolution using neural networks,” in *Workshop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2017. [[arxiv]][a1] |
133 |
| - 2. <a name="r2"></a> ... [[blog]][a2] |
| 17 | +This command starts a local development server and opens up a browser window. Most changes are reflected live without having to restart the server. |
134 | 18 |
|
135 |
| - [a1]: https://arxiv.org/abs/1708.00853 |
136 |
| - [a2]: https://mindslab-ai.github.io |
137 |
| - ``` |
138 |
| - - 포스트 마지막에 References 소제목을 넣습니다. |
139 |
| - - References 항목은 numbered list`1. 2. ...`로 작성하고, 다음과 같은 anchor를 삽입합니다. `<a name="r{reference_number}"></a>` |
140 |
| - - 본문 중에서 인용표시 방법(번호, 저자명, 윗첨자 등)은 자유입니다. |
141 |
| - - `[1]` or `A. Authors et al` or <sup>[1]</sup> or `[paper_title]`, etc... |
142 |
| - - 인용표시는 항상 해당 anchor로 링크를 걸어줍니다. |
143 |
| - - [[link text]](#r1) `[[link text]](#r1)` |
144 |
| - - arxiv나 cvpr 링크 등 직접적인 링크는 포스트 맨 하단에 모아서 작성합니다. |
| 19 | +### Build |
145 | 20 |
|
146 |
| -### 6. Badge 달기 |
147 |
| -- 참고: [shileds.io](https://shields.io) |
148 |
| -- (되도록 포스트 윗부분에서) 포스트에서 주로 다루는 대상의 링크들을 아래와 같이 badge로 달아두면 보기에 좋습니다. |
149 |
| -- [](https://arxiv.org/abs/2104.02321) |
150 |
| -[](https://openaccess.thecvf.com/content/CVPR2021/html/Kim_SetVAE_Learning_Hierarchical_Composition_for_Generative_Modeling_of_Set-Structured_Data_CVPR_2021_paper.html) |
151 |
| -[](https://github.com/mindslab-ai/nuwave) |
152 |
| -[](https://mindslab-ai.github.io/nuwave/) |
153 |
| -[](https://github.com/mindslab-ai/nuwave) |
154 |
|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AK3AI3lS_rXacTIYHpf0mYV4NdU56Hn6?usp=sharing) |
155 |
| - ``` |
156 |
| - ## Awesome NU-WAVE! |
| 21 | +``` |
| 22 | +$ yarn build |
| 23 | +``` |
157 | 24 |
|
158 |
| - ### It has many public links |
159 |
| - ... |
160 |
| - [](https://arxiv.org/abs/2104.02321) |
161 |
| - [](https://openaccess.thecvf.com/content/CVPR2021/html/Kim_SetVAE_Learning_Hierarchical_Composition_for_Generative_Modeling_of_Set-Structured_Data_CVPR_2021_paper.html) |
162 |
| - [](https://github.com/mindslab-ai/nuwave) |
163 |
| - [](https://mindslab-ai.github.io/nuwave/) |
164 |
| - [](https://github.com/mindslab-ai/nuwave) |
165 |
| -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AK3AI3lS_rXacTIYHpf0mYV4NdU56Hn6?usp=sharing) |
| 25 | +This command generates static content into the `build` directory and can be served using any static contents hosting service. |
166 | 26 |
|
167 |
| - ### The author is awesome |
168 |
| - ... |
169 |
| - ``` |
| 27 | +### Deployment |
170 | 28 |
|
171 |
| -### 7. 수식 입력 |
172 |
| -- 참고: [형규님 ACON 리뷰](/_posts/2021-07-19-paper-review-acon.md) |
173 |
| -- front matter 마지막줄에 `use_math: true` 추가 |
174 |
| -- mathjax로 입력됨, latex과 비슷 |
175 |
| -- `$$\operatorname{swish}(x):=x \times \sigma(\beta x)=\frac{x}{1+e^{-\beta x}}$$`과 같은 식으로 `$${equation}$$` equation block 작성가능 |
176 |
| -- `$\beta = 0$ 일 경우, Linear function $f(x) = x/2$ 처럼 작용하게 됩니다.`inline으로 작업할때는 `${something}$` 과 같은 식으로 작성가능 |
| 29 | +Using SSH: |
177 | 30 |
|
| 31 | +``` |
| 32 | +$ USE_SSH=true yarn deploy |
| 33 | +``` |
178 | 34 |
|
179 |
| -### 8. Emoji 입력 |
180 |
| -- slack과 비슷하게 emoji사용 가능 |
181 |
| -- `:emoji:`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가능 |
182 |
| -- https://gist.github.com/rxaviers/7360908 : emoji list |
183 |
| -- :star: :+1: :tada: :shipit: |
184 |
| -- `:star: :+1: :tada: :shipit:` |
| 35 | +Not using SSH: |
185 | 36 |
|
| 37 | +``` |
| 38 | +$ GIT_USER=<Your GitHub username> yarn deploy |
| 39 | +``` |
186 | 40 |
|
| 41 | +If you are using GitHub pages for hosting, this command is a convenient way to build the website and push to the `gh-pages` branch.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