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Copy file name to clipboardExpand all lines: content/docs/reference-react.md
+6-8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49,7 +49,7 @@ UI의 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JSX를 사용할 것](/docs/introducing-jsx
49
49
50
50
### Fragments {#fragments}
51
51
52
-
또한 `React`는 래퍼 없이 복수 요소를 렌더링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합니다:
52
+
또한 `React`는 래퍼 없이 복수 요소를 렌더링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합니다.
53
53
54
54
-[`React.Fragment`](#reactfragment)
55
55
@@ -58,18 +58,16 @@ UI의 형태를 설명하는 데에 [JSX를 사용할 것](/docs/introducing-jsx
58
58
-[`React.createRef`](#reactcreateref)
59
59
-[`React.forwardRef`](#reactforwardref)
60
60
61
-
### Suspense
61
+
### Suspense {#suspense}
62
62
63
63
Suspense를 사용하면 컴포넌트가 렌더링 전에 "기다립니다". 현재 Suspense는 단 하나의 사용례만 지원합니다: [`React.lazy`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불러오기](/docs/code-splitting.html#reactlazy). 나중에는 데이터 불러오기와 같은 사용례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64
64
65
65
-[`React.lazy`](#reactlazy)
66
66
-[`React.Suspense`](#reactsuspense)
67
67
68
-
## Hooks {#hooks}
69
-
70
68
### Hooks {#hooks}
71
69
72
-
*Hooks*는 React 16.8에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Hooks를 사용하면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태와 React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ooks만을 다루는 문서와 API 문서가 존재합니다:
70
+
*Hooks*는 React 16.8에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Hooks를 사용하면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태와 React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ooks만을 다루는 [문서](https://reactjs.org/docs/hooks-intro.html)와 API 문서가 존재합니다:
@@ -106,9 +104,9 @@ class Greeting extends React.Component {
106
104
107
105
### `React.PureComponent` {#reactpurecomponent}
108
106
109
-
`React.PureComponent`는 [`React.Component`](#reactcomponent)와 유사합니다. [`React.Component`](#reactcomponent)은[`shouldComponentUpdate()`](/docs/react-component.html#shouldcomponentupdate)를 구현하지 않지만, `React.PureComponent`는 props와 상태의 얕은 비교를 통하여 구현한다는 차이점만이 존재합니다.
107
+
`React.PureComponent`는 [`React.Component`](#reactcomponent)와 유사합니다. [`React.Component`](#reactcomponent)는[`shouldComponentUpdate()`](/docs/react-component.html#shouldcomponentupdate)를 구현하지 않지만, `React.PureComponent`는 props와 상태의 얕은 비교를 통하여 구현한다는 차이점만이 존재합니다.
110
108
111
-
당신이 만든 React 컴포넌트의 `render()` 함수가 동일한 props와 상태에 대하여 동일한 결과를 렌더링한다면, `React.PureComponent`를 사용하여 경우에 따라 성능 향상을 누릴 수 있습니다.
109
+
React 컴포넌트의 `render()` 함수가 동일한 props와 상태에 대하여 동일한 결과를 렌더링한다면, `React.PureComponent`를 사용하여 경우에 따라 성능 향상을 누릴 수 있습니다.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