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4
Home
Hoeeeeeh edited this page Oct 31, 2024
·
7 revisions
팀 노션 ╎ Figma ╎ 그라운드 룰 ╎ 기술 정리 노트 ╎ 회의록
토스, 배달의 민족, 카카오 등 다양한 컨퍼런스들이 있지만 실제로 신청해서 당첨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저희는 이러한 컨퍼런스 문화가 더욱 활발해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얻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LiBoo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작게는 팀원 간 소규모 기술 공유부터, 크게는 네이버 부스트캠프 발표나 기업의 컨퍼런스과도 함께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자 합니다!
- 실시간 컨퍼런스 스트리밍
- 실시간 채팅 기능
- 컨퍼런스 실시간 뒤로가기 / 다시보기
- 메인 대시 보드
- 실시간 영상 하나 크게
- 다시보기
- 다른 컨텐츠들
- Q&A 기능
- 채팅 시 질문 채팅으로 설정 가능
- 가장 좋아요 많은 질문 하나 상단에 고정
- 질문 영역 클릭시 질문 모아둔 영영 보이게
- 중간 광고 (다시보기 정적 영상에 한해서)
- 컨퍼런스 내용 정리 AI
- 긍정적 마인드. 불안한 마음이 들때는 회고시간에 공유하기
- 비난이 아닌 상대를 존중하는 솔직한 피드백
- 감사한 일에 대해서 표현을 아끼지 말기
- 맡은 일에 책임감을 갖되 어려움이 있을 때는 혼자서 너무 앓지 말고 동료에게 바로 질문하기
- 피곤할 때 말하고 쉬기
- 빠른 응답. 읽었다면 체크 표시 남기기. (✅)
- 진짜 긴급한 사안은 카톡 핫라인 남기기
- 1주차 : 오후 6시까지 논의 마무리하고 회고 후 해산
- 만나는 주기
- 주 4회 오프라인 작업 기조
- 첫주는 주4회(월, 화, 수, 목)
- 혹시 문제가 있을경우 사전에 공지
- 금요일 팀 회고 때 다음주 미팅 일자 정하기
- 오후 5시는 기술 공유시간 → 공유할 내용이 있다면 미리 슬랙에 알리기
- 목요일 → 멘토링 일지와 기획공유 발표자료 준비
- 시간 약속 지키는 것은 필수
- 부스트캠프 생활수칙 참고. 해당하는 경우가 아닐때에는 약속한 시간에 꼭 맞춰서 오기
- 정말 부득이한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팀에게 알리기
- 10시 5분부터 지각처리. (분당 1000원, 최대 10000원)
- 말 안할경우 괘씸죄 2배
- 모인 돈으로 마지막 날 회식하기 (소고기)
- 주 4회 오프라인 작업 기조
- 결정된 의견 사항에 대해서 반대되는 의견이 있을 시 다른 해결책 가져오기
- 모두의 의견이 통일되지 않을 경우
- 다수결이라고 무조건 넘어가지는 않기
- 최대한 모두가 납득될 수 있는 안건만 통과시키기
- 모두가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 기조에 맞게 의사결정하기
- ex) 이 토론을 통해 가져가고 싶은 것이 학습or 성능개선 or … 무엇인지 정하고 토론 진행하기
- 학습을 완벽하게 하는 기조?
- 아무리 사전에 정해진 것들이라도 다시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의견 적극적으로 내기
- 비난하지 않는 선에서 얼마든지 의견 제시하기
- 점심 메뉴 슈퍼패스
- 다수결이라고 무조건 넘어가지는 않기
-
[참고] JK님의 데일리 스크럼 규칙
- 어제 무엇을 했는가
- 오늘 무엇을 할 예정인가
- 문제점/이슈는 무엇인가
-
공유 내용
- 오늘의 컨디션 공유하기
- 어제 무엇을 했는가
- 오늘 무엇을 할 예정인가
- 문제점/이슈는 무엇인가
-
스크럼 마스터는 하루에 한명씩 돌아가면서
- 스크럼 분위기 중재 및 진행
-
주말에 추가 작업할거 같다면 금요일 스크럼에 미리 적어두도록 해보기
- 데일리 스크럼이 끝나고 바로 진행
- 진행자와 서기
- 시계방향으로 옆자리 사람의 의견을 적어주기
- 스크럼마스터가 그날의 진행자
- 안건 등록
- 사전 설명이 필요한 + 의견 작성에 생각이 필요한 안건의 경우 전날에 안건 등록 + 슬랙에 알려주기
- 그 외에는 회의하면서 자유롭게 추가적으로 논의하기
- 분야별 회의도 노션에 태그로 필터링해두기
- 팀 회고 : 피그잼을 활용해서 아쉬운 점, 좋았던 점, 개선할 점을 적고 wiki에 업로드
- 개인회고도 열심히 써서 올리기. 개인 멘토링때 멘토님이 봄
- 문제해결 위주로 작성하기
- 목요일에 멘토링일지와 함께 작업
- 발표자는 5주 동안 한명씩 돌아가며 → 최종발표는 돌아가면서?
- 데일리스크럼/ 회의록/ 멘토링일지/ 세션(마클, 강연)
- 기술 관련 정리 (개발 과정/ 궁금한 부분/ 트러블 슈팅/ 학습/ 테스트)
- 백로그 태스크 단위로 문서화
- 노션과 위키 이중으로 작성
- 노션에는 실시간으로 작성하고 위키에는 정리된 내용을 업로드하는 형식으로
- 위키에 들어갈 내용
- 팀문화 (wiki에 바로)
- 그라운드룰
- 컨벤션
- 브랜치 전략
- 노션 링크로 걸기
- 데일리 스크럼
- 회고
- 멘토링
- 발표
- 기술관련 정리 DB(링크 하나만)
- 팀문화 (wiki에 바로)
-
백로그 양식은 이전 기수 템플릿 바탕으로 만들기
-
태스크 예상 시간은 다같이 포커치기
-
브랜치 전략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기존의 기능을 요구 사항에 맞추어 수정
- fix : 기능에 대한 버그 수정
- build : 빌드 관련 수정
- chore : 패키지 매니저 수정, 그 외 기타 수정 ex) .gitignore
- ci : CI 관련 설정 수정
- docs : 문서(주석) 수정
- style : 코드 스타일, 포맷팅에 대한 수정
- refactor : 기능의 변화가 아닌 코드 리팩터링 ex) 변수 이름 변경
-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 release : 버전 릴리즈
- Typo : 오타 수정(?)
- 🚀 웹 소켓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 (feat. WS vs Socket.io)
- 🤸♂️ 비제어 컴포넌트로 렌더링 최적화 하기
- 👷♀️ Shared Worker로 클라이언트의 소켓 통신 개선하기
- 👨👩👧👦 다중 탭에서 하나의 소켓을 공유할 수 있을까?
- 🚀 [Socket.io] 클라이언트의 실시간 채팅 구현기
- ☕ NestJS를 통한 일관적인 시스템 설계
✈️ 외부의 사용자가 Object Storage에 접근하지 못하는 권한 제어- 🦢 nestjs에서 swagger 사용해보기
- 🛐 NestJS Nginx Request Data Size 문제
- 🔁 다시보기를 위한 Node‐Media‐Server, FFMpeg 분석